전남대 교육혁신본부 메타버스
/0 코멘트/카테고리: 연구소식 /작성자: jtom1전남대학교가 구성원 다수가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행사를 갖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전남대 교육혁신본부(본부장 차성현 교수)는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의 후원을 받아, 9월 1일부터 10일까지 열흘동안 디지털도서관 정보마루 2층 갤러리존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브이스토리’를 동시 활용한 온·오프라인 성과공유회를 진행한다.
특히, 이번 성과공유회는 교수·학생 대상 운영 프로그램의 성과를 확산하기 위한 것이지만, 처음으로 다중이 동시에 온라인으로 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기로 해 메타버스 운영에 대한 대학의 경험과 노하우 축적은 물론, 새로운 교육적 활용에 대한 점검과 자극효과도 기대된다.
메타버스 성과공유회에 온라인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먼저 브이스토리(https://www.vstory.co.kr)에 접속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회원가입을 해야 한다. 그런 다음 자신의 아바타를 완성한 뒤 ‘저장하고 나가기’를 클릭하면 브이스토리 캠퍼스로 이동하게 된다. 메인 화면의 상단 메뉴바 > 이동> 전남대학교> 교육혁신본부 성과공유회를 클릭하면 행사장에 입장할 수 있다.
성과공유회에서는 2021학년도 1학기 교수·학생 대상 프로그램 참여 현황과 프로그램별 포스터, 참여자 소감문, 대회 및 공모전 수상작이 인쇄물, 웹파일, 동영상 콘텐츠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전시된다. 더불어, 2021학년도 2학기에 진행되는 교수·학생 대상 프로그램을 함께 소개한다.
또한 성과공유회 관람 후 간단한 소감을 작성하여 응모하면, 추첨을 통해 소정의 경품을 증정할 예정이다.
차성현 본부장은 “메타버스를 활용해 시공간 제약을 극복함으로써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방지하고, 보다 많은 학내 구성원들에게 학생·교수 대상 프로그램을 홍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의: 062)530-0918, https://ile.jnu.ac.kr/ (전남대학교 교육혁신본부)
조재호 교수(의대)팀 인터페론 전사인자
/0 코멘트/카테고리: 주요뉴스 /작성자: jtom1전남대학교와 서울대학교 공동연구팀이 인터페론 신호와 연계된 신생 CD8 T 세포의 항상성 조절 기전을 발견했다.
전남대 조재호 교수(의과대학 MRC)팀은 서울대 윤철희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인터페론 신호 전사인자인 STAT1 단백질이 비감염 정상상태의 생체환경에서 신생 CD8 T 세포의 항상성 조절자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연구팀은 STAT1 유전자가 결여된 돌연변이 생쥐모델에서 비정상적으로 활성화 되어있는 CD8 T 세포를 발견하고,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실험기법을 적용하여 STAT1 결핍 신생 CD8 T 세포에서의 비정상적인 인터페론 신호전달 유발 기전을 규명하였다.
이는 인터페론 신호전달 체계의 기존 항바이러스 인자로서의 역할과는 다른 항상성 인자로서의 새로운 중요성을 보여준 연구 결과이다.
인터페론 신호 전사인자인 STAT1은 병원체감염및, 자가면역질환 그리고 암 등의 다양한 면역 관련 질환에서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인간 STAT1 유전자의 다형성 및 돌연변이 사례 또한 다수 보고된 바 있다.
조재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인터페론 신호전달이상으로 유발된 질환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며, “향후 CD8 T 세포를 타겟으로 하는 면역 치료제 분야에서 새로운 인터페론 신호전달 조절자 및 활성자에 대한 응용 연구가 가속화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 및 원천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Science Advances(영향력 지수 14.136) 9월 1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